
안녕하세요 :)
공대생입니다! 🤩

오늘은 K-패스 카드를 발급하고 등록하여 교통비 환급받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!
K-패스 카드는 대중교통 이용 시 일정 비율의 요금을 환급받을 수 있는 혜택을 제공합니다.
그럼, 어떻게 신청하고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단계별로 알아볼까요? 🚀
📝 1. K-패스 카드 발급하기

K-패스 카드는 여러 금융기관에서 발급 가능해요.
아래는 주요 발급처와 방법입니다
• 온라인 발급: 카카오뱅크, 케이뱅크, iM뱅크 등 모바일 앱을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.
• 오프라인 발급: 신한, 우리, 하나, 삼성, KB국민, 현대, NH농협, BC, 롯데, IBK기업, 광주은행 등의 영업점을 방문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.
발급 시 필요한 준비물:
• 신분증: 주민등록증, 운전면허증 등
• 본인 명의 계좌 정보: 체크카드의 경우 연결할 계좌
🔄 2. K-패스 카드 등록 및 회원가입

카드를 발급받은 후, K-패스 공식 앱 또는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과 카드 등록을 진행해야 합니다.
등록 방법:
1. K-패스 앱 설치 또는 홈페이지 접속: 스마트폰 앱스토어에서 ‘K-패스’를 검색하여 설치하거나, K-패스 공식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.
2. 회원가입 진행:
• 카드 유효성 체크: 발급받은 카드의 번호를 입력하여 유효성을 확인합니다.
• 약관 동의 및 본인인증: 서비스 이용 약관에 동의하고, 본인인증 절차를 완료합니다.
• 추가 정보 입력: 주소지, 저소득 여부, 다자녀 정보 등을 입력합니다.
참고: 회원가입 시 입력한 정보에 따라 환급 비율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정확하게 입력해주세요.
💰 3. 교통비 환급받기

K-패스 카드를 이용하여 대중교통을 이용하면, 이용 횟수와 금액에 따라 다음 달에 환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.
환급 기준:
• 이용 횟수: 월 15회 이상, 최대 60회까지 인정됩니다. (일 최대 2회)
• 환급 비율:
• 일반인: 20%
• 청년층(만 19~34세): 30%
• 저소득층: 53%
환급 예시: 월 대중교통비로 7만 원을 지출한 경우, 일반인은 1만 4천 원, 청년층은 2만 1천 원, 저소득층은 3만 7천 원을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.
환급 절차:
• 체크카드: 연결된 계좌로 환급액이 입금됩니다.
• 신용카드: 다음 달 결제대금에서 환급액이 차감됩니다.
📞 4. 추가 문의 및 참고 사항
K-패스 관련 문의:
• 이용 및 환급금 관련 문의: K-패스 고객센터(☎031-427-4415)
• 정책 문의 및 개선사항: 한국교통안전공단(☎054-459-7441, 7442, 7446)
우리모두
K-패스 카드를 통해 교통비를 절약하시고,
더욱 편리한 대중교통 생활을 누려요~